본문 바로가기

바카라 1 출 디시바카라 디시

바카라 디시

SITEMAP

매거진 바카라 1 출 디시ans

OUR VIEW - 인문학 속 경제학 10년 전과는 다르게: 변화와 성숙의 비트

2025 SPRINGVOL.64


바카라 1 출 디시

글. 양주영 거시·금융정책바카라 1 출 디시부 바카라 1 출 디시위원


누가 나에게 최애 가수가 누군지 물어본다면 나는 주저 없이 에픽하이라고 말할 것이다.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사실 오랫동안 변하지 않았다. 고등학생 때 알게 된 이 아티스트를, 대학생을 거쳐 지금까지 애정하고 있다. 2008년에 발매된 정규 5집을 통해 정식으로 에픽하이에게 입문한 나는 <연필깎이를 참 좋아했다. 그 당시 유행했던 MP3 플레이어에 노래를 담아 무한반복으로 들으면서 수험생 시절을 보냈다. 제목에 비해 가사는 굉장히 비장하다. “펜과 종이, 무한한 소리, 난 절대 포기할 수 없는, 끊을 수 없는 고리 ... 달리는 것만이 우리 가진 게 없으니 음악을 살리는 것만이 그대와 나의 역할. beat 위에 rhyme의 설계사 ... 그대의 밤이, 틈을 잃어버린 삶이 사람들의 태양이 된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마”. 래퍼의 사명감이 녹아있는 가사와 묵직한 비트가 참 마음에 들었다. 나는 타블로와 미쓰라 진의 랩 스타일과 더불어 특히 DJ 투컷의 비트선곡을 참 좋아한다. 올드스쿨 힙합을 좋아하는 나는 무거운 베이스와 드럼비트가 가득한 곡을 좋아하는데 투컷 비트는 그 기준에 꽤 잘 부합하는 것 같다.

내가 에픽하이를 좋아하는 또 다른 이유는 이 아티스트의 성숙 과정이 앨범에 고스란히 담겨 있기 때문이다. 2017년에 발매된 정규 9집의 비트는 <연필깎이와 비슷해서 내가 많이 좋아했던 곡이지만 가사 내용은 사뭇 다르다. “화가 나. 겨우 가사 한 줄 적는데 며칠 밤을 새. 할 말이 넘치던 10년 전과는 다르게. 갈수록 하고 싶은 말과 해도 되는 말이 줄고 기대와 무거운 책임감만 따르네 ... 가진 게 없어 했던 그때와 뺏길까 봐 하는 지금. 잃을 게 없던 그때와 잃을 게 더 많은 지금”. 같은 앨범 <어른 즈음에에 “난 바빴어, 앨범 준비도 했고 애 키우는 게 만만치 않네”처럼, 한때 당차고 포부 넘쳤던 신인 래퍼 에픽하이가 힙합씬에서 뒤처지지 않을까 부담을 느끼는 애 아빠 래퍼가 되었다. 그동안 고등학생 팬이었던 나 역시 대학원을 지나 사회 구성원이 되었고 에픽하이 앨범을 볼 때면 내 인생의 성숙 과정을 보는 것 같아 오랜 친구 같다.

에픽하이와 내가 성숙한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경제도 상당히 성숙해졌다. 국제원조에 의존하며 1998년도 외환위기 때 파산 직전까지 갔던 나라가 2020년 GDP 기준 세계 10위, 2023년도 기준 1인당 GDP는 인구 5천만 명 이상 나라 중 6위에 드는 등 선진국 반열에 들어선 지 오래다. 솔로우 경제발전 이론(Solow Growth Model)에 따르면 저소득 국가는 자본을 축적하며 고도성장하고 자본이 일정 수준에 이르러 고소득 국가가 되면 서서히 느린 성장을 한다. 개발도상국이 선진국을 따라잡고(Catch-up) 둘 간 격차가 수렴되는 것이다. 한국경제가 성숙단계에 들어서면서 그 성장세가 장기적으로 둔화하는 것은 에픽하이가 더 이상 풋풋한 신예 아티스트가 아닌 것처럼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그것도 그럴 것이 글로벌 수출산업 경쟁이 과열되고 무역분절화로 향후 수출은 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중국을 포함한 후배 래퍼들이 신기술을 주도하고 무역활로를 장악하니 더 이상 수출주도성장이 유효하기 어려운 것이다. 저성장이 당연한 시대가 된 것이다.

사실 2~3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는 성장률은 높으나 대외적으로는 영락없는 개발도상국이었다. 1998년도 외환위기는 개발도상국 원죄(Original sin)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자본이 없었던 1980~1990년대 우리나라는 외국으로부터 차입한 돈을 바탕으로 투자와 생산, 수출을 하며 성장하였다. 하지만 아무도 원화라는 개발도상국의 화폐로 빌려주지 않았고 달러로 빌릴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서 문제는 환율은 항상 변동하기 때문에 상환일쯤 달러가 크게 비싸지게 되면 빌린 돈은 그대로지만 상환액의 실질가치가 크게 상승하게 된다는 것이다. 1996년도 연말 기준으로 850원이 채 되지 않던 원·달러 환율은 다음 해 연말 1,400원을 넘겼다. 실제 부채가 약 1.7배 불어나게 된 것이다. 자국 화폐 평가절하와 함께 동반되는 디폴트 위기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태국 등 다른 아시아 개발도상국과 멕시코 등의 남미 국가에서 흔하게 나타났었다. 다만, 아직도 달러 채무의 늪에 빠져 신흥국 지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나라에 비하면 우리나라 경제는 크게 개선되었다. 2000년 기준 약 24조 원 규모였던 외국 공공부문 대출(foreign official loan)을 다 청산하고 2024년 기준 1조 달러가 넘는 순대외자산 보유 국가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대외적 신인도도 크게 향상되어 외국인 국채 보유 비중이 약 20%에 이르는 등 원화로 국외자금을 조달받는 데 어려움이 없게 되었다. 20대 청년 에픽하이가 “Hustle and Bustle”을 외치며 힙합씬에 자리 잡은 것과 같이 우리나라도 국가부도의 위기를 극복하며 성숙단계로 자리 잡은 것이다.

바카라 1 출 디시

내가 에픽하이를 좋아하는 마지막 이유는 여전히 무한반복을 하고 싶게 만드는 앨범을 내기 때문이다. 최근 앨범의 가사 “세대가 뒤집혀도 대세. Legend till I’m 백세”처럼 40대 중년 래퍼는 여전히 멋있다. 우리나라도 당연한 저성장 국면에 있지만 에픽하이와 같이 앨범 활동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내생적 경제발전이론(Endogenous Growth Model)은 국가 간 장기 성장률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지식 축적을 통한 꾸준한 기술 진보로 설명한다. 기존에 축적해 둔 지식과 노하우, 기술은 소멸되지 않고 쌓이기 때문에 시간이 갈수록 더 높은 경제발전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이다. 국가 간 경제 성장률이 수렴하지 않고 장기적으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보여주듯 최근 세계경제는 미국 경제 홀로 건재하고 선진국 내 경제성장 격차는 확연하다. 우리나라의 장기 성장률에 대한 걱정과 우려가 어느 때보다 크게 논의되고 있다. 개발도상국으로서의 원죄와 외화부채의 허들을 넘어 ‘세대가 뒤집혀도 대세’가 되기 위해 우리나라의 장기 성장률 제고를 고민해 봐야 할 때이다.

보안문자 확인

무단등록 및 수집 방지를 위해 아래 보안문자를 입력해 주세요.

바카라 1 출 디시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

바카라 1 출 디시 직원 정보 확인

담당자 정보를 확인해 주세요.044-550-5454

등록완료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등록실패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Join ourNewsletter

매일 새로운 소식으로 준비된 바카라 1 출 디시 뉴스레터와 함께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세요.